본문 바로가기
📂 케어행정로그 (요양보호·정책·행정·법령 중심)

📘 시험 직전 필수정리! 요양보호사 핵심 요약집 (3부)

by onzzu 2025. 8. 12.
반응형

3부. 요양보호와 생활지원

    8장) 의사소통과 정서지원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10장) 신체활동 지원

    11장)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 기본 체위의 형태 (p.442~446)

• 바로 누운 자세(양와위) = 휴식하거나 잠을 잘 때

• 천장을 쳐다보며 똑바로 누운 자세

• 대상자의 🔴머리 밑에 작은 베개🔴를 받쳐준다.

• 대상자 🔴무릎과 발목 밑에 타월🔴이나 작은 베개 사용

반 앉은 자세(반좌위) = 숨차거나, 얼굴을 씻을 때, 식사 시, 위관영양을 할 때

• 침상머리 🔴45° 정도🔴 올린 자세, 등 뒤에 베개 2~3개 사용하여 A자 형태로 받침

• 침대 다리 쪽을 올려 주면 대상자가 내려가지 않음

 

🟡 기본 체위의 형태 (p.442~446)

• 옆드린 자세(복위) = 등에 상처가 있거나 등 근육을 쉬게 해줄 때

• 🔴아랫배에 낮은 베개🔴를 놓아 허리 앞굽음 감소

• 얼굴 베개(수건)

• 발목 밑에 🔴타월🔴을 받친 경우 → 넙다리와 허리 긴장 완화

옆으로 누운 자세(측위) = 둔부 압력을 피하거나 관장할 때

•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은 굽힌 자세

• 엉덩이를 뒤로 이동시키면 자세가 더욱 편안

 

🟡 휠체어 다루는 법 (p.447)접는 법

① 잠금장치 잠근다.② 발 받침대 올린다.③ 시트 들어 올린다.④ 팔걸이 접는다.

푸는 법① 잠금장치 잠근다.② 팔걸이 펼친다.③ 시트 눌러 편다.

발판 높낮이 조절① 발판 볼트를 왼쪽으로 돌려 푼다.② 발판을 대상자 다리 길이에 맞춘다.③ 발판 볼트를 오른쪽으로 돌려 조임.

 

🟡 휠체어 이동 시 작동 법 (p.450)

• 지그재그

• 대상자의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 오르막길🔴올라갈 때🔴, 내리막길🔴내려갈 때🔴

앞바퀴 들어올린 경우

• 문턱 오를 때, 문턱 내려갈 때

• 울퉁불퉁한 길

뒤로 이동 : 무조건 내려갈 때 (대상자가 굴러 떨어질 수 있기 때문)

엘리베이터 : 뒤로 들어가서 앞으로 나온다.

 

🟡 휠체어 이동 시 작동 법 (p.452)

• 바닥에서 휠체어로 옮기기

• 건강한 쪽 가까이에 휠체어 대기 → 건강한 쪽 무릎 꿇고 앉는다.

• 앉아서 건강한 손으로 준비한 휠체어를 잡게 한다.

• 엉덩이를 들어 허리를 편다.

• 요양보호사는 한 손으로 허리, 한 손은 어깨를 지지.

• 대상자 건강한 쪽 무릎을 세워 일어나 → 휠체어에 앉힌다.

 

🟡 휠체어 이동 시 작동 법 (p.452)

• 휠체어에서 바닥으로 옮기기

• 잠금장치를 잡고, 발 받침대를 올려 발을 바닥에 내려놓는다.

• 마비된 쪽 옆에서 어깨와 몸통을 지지.

• 대상자는 건강한 쪽 팔을 뻗어 바닥을 짚게 한다.

• 건강한 쪽 다리에 힘을 주어 바닥으로 내려앉게 한다.

• 이동하는 동안 상체를 지지해준다.

 

🟡 휠체어 이동 시 작동 법 (p.453)

• 침대 → 휠체어

• 대상자의 건강한 쪽 비스듬히 놓은 다음 잠금장치를 잠근다.

• 1~10번까지는 침대에서 일으키는 과정

• 건강한 손으로 침대 바닥을 지지하게 한다.

• (발 간격 충분히 벌리기 / 🔴마비된 발 지지하기🔴)

• 다리 사이에 요양보호사의 발을 집어넣고, 바지 뒤춤을 잡고 구호에 맞춰 일어선다.

• 건강한 다리를 축으로 삼아 휠체어 쪽으로 몸을 돌려 앉힌다.

 

🟡 휠체어 이동 시 작동 법 (p.454)

• 한 사람이 휠체어에서 침대로 옮기기

• 건강한 쪽이 침대와 평행(또는 30~45° 비스듬히) 휠체어를 두고 잠금장치 잡는다.

• 대상자와 마주서고 대상자의 🔴마비 쪽 무릎을 눌러🔴 일으켜 세운 후 방향을 바꾸어 건강한 쪽으로 침대를 잡고 침대에 걸터앉게 한다.

두 사람이 휠체어에서 침대로 옮기기

• 휠체어는 침대에 평행하게 붙여 놓고 잠금장치를 잡는다.

• 키가 크고 힘 센 사람은 대상자 뒤쪽(몸통)에 선다.

• 다른 한 사람은 대상자 다리 바깥쪽에 선다.

 

🟡 휠체어 이동시 작동 법 (p.457)

🔵휠체어에서 자동차로 옮기기

• 휠체어를 자동차와 평행하게 놓거나 약간 비스듬히 하여 놓는다. (공간확보)

• 휠체어 잠금장치를 고정, 발판을 접은 후 대상자의 양쪽 발 내려놓는다.

• 대상자의 🔴마비 측 무릎을 지지하고 대상자의 🔴엉덩이부터 자동차시트에 앉게 한다. 이때 대상자의 🔴건강한 손으로 자동차 손잡이를 잡게 한다.

• 대상자 다리를 한쪽씩 올려놓은 후 자동차 시트에 깊숙이 앉게 한다.

• 안전벨트를 채워준다.

• 🔴반드시 대상자 옆자리에 앉아서 도와야 한다.

 

🟡 보행돕기 (p.463)

1. 🔵부축하며 걷기

• 대상자 옆에 서서 팔로 허리를 🔴껴안듯이 잡고 반대편 손으로 요양보호사의 어깨 위에 있는 대상자의 손을 잡고 걷는다.

• 서로 반대편 발을 앞으로 내딛어 발을 맞춰 걷고, 약한 쪽 다리를 먼저 내딛도록 한다.

 

🟡 지팡이 이용 (p.465)계단 오를 때

• 지팡이 🟢O → 지팡이 → 건강한 다리 → 마비된 다리 순서

• 지팡이 🔴X → 건강한 손 → 건강한 다리 → 마비된 다리

계단(평지) 내려갈 때

• 지팡이 🟢O → 지팡이 → 마비된 다리 → 건강한 다리 순서

• 지팡이 🔴X → 건강한 손 → 불편한 다리 → 건강한 다리

방향 전환

• 불편한 쪽을 지팡이 쪽으로 내밀고 건강한 다리에 체중을 실어 원을 그리듯 천천히 반원을 그리며 방향을 바꾼다.

지팡이 위치

• 지팡이를 건강한 발(새끼 발가락) 앞 15cm, 옆 15cm

 

🟡 보행기 사용 (p.467)

• 보행기 다리의 고무가 닳은 정도, 보행기의 바퀴와 잠금장치를 확인

• 팔꿈치가 약 30°로 구부러지도록 보행기의 손잡이를 엉덩이 높이로 조절

🔵한쪽 다리만 약한 경우

• 보행기와 약한 다리 같이 옮기고, 약한 다리 옮긴다.

 

🟡 복지용구 사용 (p.471)

대여품목 : 수동휠체어, 전동침대, 수동침대, 이동욕조, 목욕리프트, 배회감지기, 경사로(실외용)구입품목 : 이동변기, 목욕의자, 욕창예방 방석, 성인용 보행기, 안전손잡이, 자세변환 용구, 미끄럼방지용품, 간이변기(간이대변기·소변기), 지팡이, 요실금팬티, 경사로(실내용)

• 대여 또는 구입 : 욕창예방 매트리스, 경사로(실내·외용)⭐ 비싸고 큰 것은 대여, 싸고 작은 것은 구입 ⭐

 

🟡 복지용구 사용 (p.472)

🔵이동변기 → 배설돕기 파트 문제로 나옴

1. 선정 시 고려 사항① 대소변 받이(변기통)는 탈부착 가능. 팔걸이와 등받이가 있어야 한다.② 뜨거운 물로 세척하거나 소독약으로 소독할 수 있는 재질(=간이변기)③ 튼튼해야 한다. 이동변기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2. 사용 시 주의 사항① 가볍기 때문에 미끄러지거나 넘어짐에 주의해야 한다.② 사용 전 네 개의 다리가 지면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③ 변기 한쪽 손잡이만 잡고 일어서지 말아야 하며, 덮개에 기대지 않는다.④ 좌변기 시트에 올라서지 않는다. 변기통이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한다.

 

🟡 보행기의 종류 (p.482)

✔보행보조차 : 어느 정도 균형감각과 보행능력이 있는 대상자가 사용 → 바구니 있음, 앉아서 쉴 수 있음, 손잡이 밑에 잠금장치✔보행차 : 뒤로 잘 넘어지는 사람, 뇌졸중이 있는 사람은 주의

 

🟡 목욕의자 (p.489)

• 등받이가 높게 되어 있고 팔걸이가 있어야 한다. 녹슬지 않는 소재

• 의자 부분에 구멍이 있거나 홈이 파여 있어 물이 흘러야 함

• 다리 밑 부분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이어야 한다.

 

🟡 목욕 리프트 (p.491)

• 감전예방을 위해 충전용 🔴배터리만 목욕리프트의 전원으로 사용

• 녹슬지 않는 재질, 등받이 각도 조절 가능,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야 함

 

🟡 이동욕조 (p.492)

• 평평하고 이물질 없는 장소에서 사용, 송곳·날카로운 도구가 닿지 않게 한다.

• 욕조를 잡고 일어나거나 앉지 않는다.

• 응급상황 발생 시에는 배수밸브를 열어 즉시 물을 뺀다.

 

🟡 욕창예방 매트리스 (p.495) 

→ 24시간 사용① 모터와 매트리스는 🔴호스로 연결되고, 욕창예방 매트리스를 감싼 보호 덮개가 있어야 한다.② 손을 대상자의 등과 엉덩이 밑에 넣어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정상 동작을 확인③ 공기가 일정 간격으로 교대 주입되었다가 배기되는지 확인→ 터지거나 찢어지면 안 됨!! (뜨거운 거, 날카로운 물건 X)

 

🟡침대 (p.498)

• 등 부위 또는 다리 부분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크랭크 손잡이는 침대의 다리판 쪽에 위치 (수납 방식)

• 손잡이 주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둔다.

•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높낮이를 가장 낮은 위치에 오도록 한다.

 

🟡배회 감지기 (p.500)

🔵위성항법장치형(GPS): 위치추적 서비스, 분실 주의🔵매트형 배회감지기: 침대 또는 바닥에 설치, 걸려 넘어짐 주의

 

🟡식사 준비와 영양관리 (p.527~531)

• 조리방법• 두부와 가공식품(햄, 어묵 등)은 끓는 물에 데쳐서 사용. (나트륨 줄이기)• 채소는 삶으면 부드러워져 먹기 쉽다.• 육류는 오래 삶으면 부드러워진다.• 생선은 너무 오래 삶으면 질기고 딱딱해진다.• 식욕을 돋우기 위해 식초나 소스로 무침• 오래 구우면 수분이 모두 빠져나가 딱딱해진다.

 

🟡저작 및 연하곤란 대상자의 식사관리 (p.532)

• 식사 시 주의사항 → 🔴섭취요양 파트랑 문제 같이 나옴• 밥을 국이나 물에 말아 먹지 않는다.• 국수류, 떡류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먹는다.• 과일류는 부드러운 과육을 잘게 잘라 먹거나 🔵숟가락으로 긁어 먹는다.• 유제품류는 마시는 형태보다 🔵떠먹는 형태를 선택한다.• 바른 식사자세로 앉아 머리는 정면을 보고 턱은 몸쪽으로 🔴약간 당긴다.• 한 번에 조금씩 먹고 여러 번 나누어 삼키는 연습을 한다.• 식사 도중에 이야기하지 않는다.• 식사 후 바로 눕지 말고 🔵약 30분 정도 똑바로 앉는다.

 

🟡식품, 주방 위생관리 (p.536)

🔴식중독 예방 6대 수칙• 손씻기: 손은 🔵30초 이상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하기• 육류, 가금류, 생선류, 달걀 등은 중심 온도가 🔵75℃에서 1분 이상• 조개류 등 어패류는 중심 온도가 🔵85℃에서 1분 이상• 채소와 과일은 물에 최소 🔵1~2분 담근 후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씻는다.• 해동시킨 경우 다시 냉동 금지, 냉장: 5℃ 이하 / 냉동: -18℃ 이하• 도마가 한 개만 있을 때: 과일·채소류 → 육류 → 생선류 → 닭고기류 순

 

🟡식품, 주방 위생관리 (p.539)

• 식품별 보관방법• 감자와 고구마는 통풍이 잘되며 서늘하고 어두운 곳• 달걀은 둥근 부분이 ‘위’로 (비벼 씻지 말 것)• 열대과일은 실온에 보관하고, 대부분의 과일은 냉장실

 

🟡의복 및 침상청결 (p.546)

• 의복의 선택 및 관리• 새로 구입한 의류는 한 번 세탁한 후 사용• 더러워진 의류는 🔴애벌빨래하여 세탁• 저녁 외출 시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 밝은 색 옷• 신발은 굽이 낮고, 폭이 좁지 않으며, 뒤가 막혀 있는 것

 

🟡의복 및 침상청결 (p.547)

• 침상관리• 이불 = 🔵면제품, 오전 10~오후 2시(양모나 오리털은 그늘에서) 건조• 요 ⇒ 단단하고 탄력성, 습기 배출• 린넨류(시트, 베개커버) ⇒ 소재는 튼튼하고 흡습성 O, 재봉선 있는 것 X• 베개 ⇒ 습기를 흡수하지 않고, 열에 강하며 촉감이 좋은 재질,높이는 척추와 머리가 수평이 되는 것

 

🟡의복 및 침상청결 (p.550)

• 얼룩을 제거하는 방법• 커피: 식초와 주방세제를 1:1 비율로 세탁• 땀: 재빨리 처리, 얼룩이 심한 부위는 온수에 과탄산소다와 주방세제를 1:1로 넣어 2~3시간 담가둔 후 헹굼• 립스틱: 클렌징폼 사용 후 잘 안되면 아세톤을 묻혀서 세탁• 파운데이션: 알코올이 함유된 화장수로 지운다• 튀김기름: 주방용 세제 사용• 혈액이나 체액: 찬물로 닦고 더운물로 헹군다

 

 

 

 

🟡 외출동행 및 일상업무 대행 (p.554)

① 동행 전  (준비 철저)

• 교통 정보, 🔴교통수단, 🔴숙지, 외출 시 준비물 확인, 보조기구 점검

② 동행 중

• 예기치 못한 상황에는 대상자 및 가족과 상의하여 상황에 맞게 대처

③ 동행 후

• 외출동행이 의도한 대로 만족스러웠는지를 확인한다

 

🟡 안전한 주거환경 관리 (p.559)

① 현관

• 조명은 현관 밖과 🔴발밑을 비출 수 있게 설치

• 문고리는 열고 닫기가 용이하도록 🔴막대형으로 설치

•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도록 🔴의자를 놓아둔다

② 거실

• 출입구의 문턱을 없앤다. 가능한 물건을 두지 않는다

③ 대상자의 방

• 방은 햇빛이 잘 비치는 남향 또는 남동향, 화장실 가깝게 배정

• 환기 시에는 직접 X (하루에 2-3시간 간격으로 3번, 최소한 10-30분)

• 습도 40~60% 적합

 

🟡 안전한 주거환경 관리 (p.560)

• 🔴미끄럼 방지 매트, 🔴안전손잡이 설치, 🔴문턱 제거, 🔴조명 설치➡ 이런 표현 나오면 대상자의 안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정답!!!

• 환기 시에는 직접 X (하루에 2-3시간 간격으로 3번, 최소한 10-30분)

• 습도 40~60% 적합

• 자연채광은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가 있어 신진대사 도움

• 국소난방보다는 전체난방

• 배설을 치울 때는 직접조명

 

 

🟡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p.562)

① 환기

• 환기 시에는 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루에 2-3시간 간격으로 3번, 최소한 10-30분)

② 🔵실내 온도  → 국소난방보다는 전체난방

• 여름: 22-25℃, 겨울: 18-22℃

③ 🔵실내 습도  → 습도 40~60% 적합

④ 채광

• 자연채광은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가 있어 신진대사 도움

⑤ 조명  → 배설을 치울 때는 직접조명 (확인을 위해)

728x90
반응형